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PC 등 전자기기를 가까운 거리에서 오래 보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 많다.
이 때문에 근시, 난시 등의 문제가 발생해 시력교정이 필요한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 안경이나 렌즈 착용을 불편하게 여기는 이들이 차선책으로 라식이나 라섹 등의 방법을 알아본다.
보통 수술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검사에서 근시 정도가 심각해 일반적인 근시가 아니라 초고도근시로 판단되는 경우 라식, 스마일라식, 스마일프로 등이 불가능하다.
라섹 수술은 가능하지만 절삭량이 많아 시력의 질이 떨어지고 퇴행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시력교정술을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초고도근시 교정은 렌즈삽입술(ICL)을 통해 시력을 개선하는 경우가 많다.
렌즈삽입술은 각막 절제 없이 시력교정용 렌즈를 눈에 삽입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근시와 난시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고 퇴행 부작용에 대한 부담도 적다.
다만 눈 안에 렌즈가 들어가고 라식 라섹이 안 되는 눈이라 렌즈삽입술을 한다는 걱정이 앞서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다.
렌즈삽입술도 안정성이 높은 방법이긴 하나 환자 입장에서는 불안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삽입술이라고 해서 아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도 아니므로 신중하게 결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수술 시 환자 눈에 맞지 않는 렌즈를 사용하거나 렌즈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지 못할 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안과에서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우선 렌즈삽입술 관련 임상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의료진이 상주하는지, 환자 눈에 알맞은 렌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렌즈를 갖추고 있는 병원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수술 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의료체계가 잘 잡혀있는 병원인지도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BGN밝은눈안과의원 잠실 롯데타워 송윤중 원장은 “렌즈삽입술은 초고도근시 개선에 적합한 수술로, 신뢰할 수 있는 병원에서 안정적으로 진행한다면 큰 문제 없이 근시, 난시 등을 개선할 수 있다. 간혹 이벤트나 가격 등에 집중해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으나, 검사부터 수술,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전체적인 시스템이 잘 잡혀있는지 꼼꼼하게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출처: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junsoo@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