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모가 스펙인 시대다. 동시에 건강한 삶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고령시대가 되면서 만병의 근원인 비만을 해결하려는 노력도 많아졌다.
비만 해결을 위해 지금까지 고기만 먹는 황제다이어트, 탄수화물은 적게 먹고 지방은 많이 먹는 저탄고지 등 온갖 다이어트법이 나왔지만 결국에는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인다'는 진리만을 재확인시켜 줄 뿐이다.
결국 운동과 식습관 조절을 능가하는 다이어트는 없는 셈이다. 참진한의원 이진혁 원장[사진]에 따르면 한의학에서는 한약을 통해 식습관 조절을 돕는다.
포만감을 주어 식욕을 조절해 과식과 폭식을 막아 식습관 개선을 유도하고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방식이다. 이 원장은 "식탐많은 태음인, 스트레스 받으면 폭식하는 식습관 교정이 중요한 소양인의 경우 사상체질 중 비만이 되기 쉬운 체질"이라고 말한다.
이 원장에 따르면 비만 발생의 근본 원인이 개인마다 다른 만큼 약재와 감량 후 유지법 역시 달라야 한다.
건강을 위해서는 안전하게 감량해야 하기 때문에 면밀한 진료와 체질에 맞는 한약 처방이 필요하다. 아울러 비만약침이나 체지방분침, 매선 등의 치료 도 필요하다.
이 원장은 "다이어트의 목적은 날씬한 외모와 성인병 예방, 나아가 타고난 성정을 잘 다스리고 마음 건강을 찾는 데 있다"면서 "몸이 마음을 건강하게 만들고 마음이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선순환이 잘 이루어져야만 건강한 신체로의 개선이 가능함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출처 : 메디칼트리뷴(http://www.medical-tribune.co.kr)